경제용어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 정리

스미스신 2023. 2. 7. 21:43
728x90

오늘은 인플레이션(Inflation) 의미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쉽게 말하면 화폐(돈)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인플레이션 이라고 합니다.

​- 인플레이션(Inflation): 경기도 좋고, 물가도 상승
- 디플레이션(deflation): 경기도 나쁜고 물가도 하락
- 스테그플레이션: 경기도 나쁜데 물가는 상승

​1. 물가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로 측정하는데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보토 3가지를  주요 지표로 사용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수출입물가지수 입니다.

​-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 생산자물가지수(PPI) : 국내 생산자가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 지표
- 수출입 물가지수(Export and import price index): 수출입상품의 가격변동 지표

​※ 2023년 0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8% 상승, 전년동월대비 5.2% 상승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로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했다.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전월 상승률(5.0%)보다 0.2%포인트(p) 높았다. 물가 상승 폭이 
전월보다 확대된 것은 지난해 9월 5.6%에서 10월 5.7%로 오른 이후 3개월 만이다. 
물가 상승폭을 키운 데는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이 컸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4·7·10월에 이어 올해 1월에도 오르면서 전월 대비 9.2%,
 전년 동월 대비로는 29.5% 급등했다. 

도시가스는 1년 전보다 36.2% 올랐고, 지역 난방비도 34.0% 올랐다. 먹거리 물가도 주요 상승 요인이다. 
가공식품 물가 지수는 115.51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3% 올라 전월(10.3%)과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2009년 4월(11.1%) 이후 13년9개월 만의 최대 상승률이다​

2. 경기

경기란 한마디로 경제상황을 의미하는데, 현재 국가의 경제가 불황 또는 호황인지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경기지수는 (2015 = 100) 100이상에서 증가하면 경기확장, 감소하면 경기후퇴,
100이하에서 증가하면 회복, 100이하에서 하락하면 침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경기종합지수 (CEI): 경기종합지수의 경우 호황이 기대되면 올라가고, 불황이 기대되면 내려갑니다.
- 경기선행지수(CLI) : 3-6개월 후의 경기흐름 지표로 전월보다 올라가면 경기상승, 내려가면 경기하강
- 동행종합지수:  경기변동의 국면 · 전환점과 속도 · 진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경기지표

경기란 한마디로 경제상황을 의미하는데, 현재 국가의 경제가 불황 또는 호황인지 알수 있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경기지수는 (2015 = 100) 100이상에서 증가하면 경기확장, 감소하면 경기후퇴 

     100이하에서 증가하면 회복, 하락하면 침체
- 경기종합지수 (Composite Economic Indexes, CEI): 경기종합지수의 경우 호황이 기대되면 올라가고, 

  불황이 기대되면 내려간다.
- 경기선행지수(Composite Leading Indicator. CLI) : 경기선행지수는 3-6개월 후의 경기흐름 

  지표로 전월보다 올라가면 경기상승, 내려가면 경기하강을 의미한다.
- 동행종합지수:  경기변동의 국면 · 전환점과 속도 · 진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경기지표

 

 

 

2022년 12월 경기종합지수

 

 

선행종합지수 130.2 / 동행종합지수 122.5로 지표 모두 100이상 이므로 경기가 그나마 괜찮은것 같은데
경기종합지수(동행지수.선행지수) 추이를 보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종합지수 추이

 

 

[결론]

2023년 경기전망은 경기는 나빠지고, 물가는 상승하는 전형적인 스테그플레이션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기업과 가계 모두 힘든 한해가 될것습니다.


※ 인플레이션 종류: 

1. 슬럼프플레이션: 경기침체보다 더 심한상태 (슬럼프에서 빠져나오지 못함)


2. 애그플레이션(Agflation): 곡물가격이 상승으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농업(agriculture)+인플레이션(inflation)) 합성어


3. 인플레이션(Inflation):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


4. 디플레이션(Deflation): 전반적 물가 수준 장기간 하락 현상


5.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

6.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경제가 성장하면서 기업의 매출과 임금이 상승합니다. 이에 따른 고용 창출도 증가하겠죠. 
가계 소득이 증가하면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물가도 상승하게 됩니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경제 발전에 따른 임금 및 소득 증가, 
고용 확대로 창출된 인플레이션을 ‘좋은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7. 화폐 공급 인플레이션
역사적으로 인플레이션의 대부분은 화폐 공급 증가에 의한 인플레이션이었습니다. 
화폐 공급의 증가로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이에 따른 재화 및 서비스 가격이 올라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화폐량의 증가 원인은 여러가지로 볼 수 있으며 보통 경기 침체 시 경기 부양을 위한 
통화 공급을 확대하는 정부 정책 등을 볼 수 있습니다.

8. 비용상승(Cost-push) 인플레이션
3-1) 생산원가 상승
원유와 원자제 가격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은 결국 제품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 위축으로 인한 경기 침체 및 물가 상승이 
함께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2) 임금 인상
경기가 좋아지면 기업 매출의 증가로 임금 인상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9. 공급 충격 인플레이션
1973년 대에 OPEC(국제석유 수출기구) 회원국들의 석유 수출 금지로 인한 석유 파동이 있었습니다. 
석유 파동 충격으로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이때 대한민국의 물가 상승은 1974년에 24.8%까지 올랐으며, 
경제 성장률은 12.3%에서 7.4%까지 떨어졌습니다.

10.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소득 증가로 제품의 수요가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시기를 수요 견인(demand-pull)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경기 호황 역시 과열 상황으로 올라가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1. 독과점 및 가격 통제 인플레이션
독점 기업이 멋대로 가격을 조절해서 물가를 상승시키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부분의 국가는 공공산업의 독과점을 금지하고 있으며, 
독과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력, 상하수도 등 공공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산업의 민영화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2. 경기부양 재정정책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로 인한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기 부양을 위해 화폐 공급량을 늘리게 되면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13. 환율 상승 인플레이션
환율 약세가 발생하면 수출 기업의 매출은 올라가지만 반대로 수입 물가는 오르게 됩니다. 
수입 물가가 오르는 경우 환율 상승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28x90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상승과 하락의 원인  (0) 2023.02.19
채권의 종류와 이해  (2) 2023.02.19
천연가스(LNG, LPG) 정리  (0) 2023.02.07
기준금리, 대출금리, 가산금리 정리  (0) 2023.02.05
경상수지란?  (0) 2023.02.04